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저번에 커피 원두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오늘은 커피 추출방식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예전에는 에스프레소 머신이 없었기 때문에 손으로 다 내려 마셨어요. 가라앉혀서 먹던 침출법부터 흔히 아는 핸드드립커피가 대표적이고 진화의 과정을 거치면서 에스프레소 머신이 등장하게 되죠.




먼저 터키식 커피부터 알아봅시다.


수작업으로 그라인딩한 원두를 가라앉혀서 마시는 고전적인 추출법이에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커피추출법으로 알려진 터키식 커피의 핵심 내용은 원두를 아주 곱게 갈아서 더욱더 진한 맛을 낸다는게 핵심이에요.  


마실때는 커피에 설탕이나 향신료등을 넣어서 마시거나 버터나 소금을 입에 머금고 마시는 방법이 있는데 이렇게 마시는 방법에 따라서 아라비아식, 그리스식, 불가리아식이라고 불리우고 있죠. 커피를 다 마시고 빈잔을 받침위에 엎어놓고는 그모양을 보고 점을 치는 풍습이 있는데 오늘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고 합니다. 어떻게 보는지는 저도잘 모르겠네요.ㅋㅋ









다음으로는 프렌치 프레스라고하는 추출법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훨씬 이해가 편하실꺼에요. 이렇게 생긴거 많이들 보셨죠? 차를 우려 마실때도 편하기때문에 종종 볼 수 있는 포트입니다. 터키식보다는 좀더 굵게 1.5mm정도로 그라인딩한 원두를 포트에 넣고 물을 붓습니다. 그다음으로는 거름망이 달린 저 손잡이를 눌러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 그럼 원두는 밑에 걸려 있게 되고 추출된 커피가 위에 남아있게 되죠. 그상태로 바로 컵에 따라 마시면 끝!!










많이 아시는 핸드드립은 대충 말만들어도 감이오죠? 

가장 자연적인 방식으로 뜨거운 물을 천천히 부어 추출하는 방식이에요. 독일의 멜리타 라는 여성분이 개발했죠. 깔때기 모양의 드립퍼는 여과지를 받쳐주는데 물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경사지게 만들고 홈을 판 형태를 뜹니다. 이홈은 물길역활도 하면서 동시에 드립퍼와 여과지가 밀착되어커피액이 역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죠. 보통 드립퍼는 강화플라스틱으로 된걸 많이 써요. 도자기나 유리는 깨지기 쉽고 비싸거든요.
















에스프레소 머신은 보일러의 압력과 모터를 이용해서 빠른시간에 추출하는 현대식 추출방식이에요. 흔히 카페가면 볼수 있죠. 현대과학의 결정체라 불리고 있고 커피 머신이 발달하면서 커피의 대중화가 되었다고 해도 틀린말은 아니죠. 커피산업이 발전하게되고 소비자들은 좀더맛있는 커피를 빨리 마실수 있게 되었으니 말이죠. 이렇게 발전함에 따라 바리스타라는 직업군도 등장하게 되었구요.





더치커피는 요새 많이 들어보셔서 알꺼에요 2-3년전만해도 생소해 했었거든요. 콜드브루다 머다 광고도 많이해서 많이 아실꺼에요. 간단하게 말하면 찬물이나 상온의 물로 장시간 우려낸 커피를 말해요. 더치 커피라는 명칭은 네덜란드풍의 커피라 하여 붙여진 일본식 명칭이고 영어로는 차가운 물로 우려낸다라고하여 콜드브루라고 해요. 흔히 보는게 점적식인데 물이 위에서 한방울씩 원두위로 적셔지고 시간이 지나면 그밑에 커피가 한방울씩 떨어지게 됩니다. 이때문에 커피의 눈물이라고도 표현을 하죠. 일반커피에 비해 쓴맛이 덜하고 부드러운게 특징이죠.




그외에 전자식기계드립, 버큠포트, 모카포트 등이 있는데 많이 쓰지않아서 그냥 건너뛸께요. 전자식 기계드립의 경우는 가끔 사무실에서 종종 쓰는건 봤어요.








댓글